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햇볕
- 티스토리챌린지
- 금잔화#calendula#금잔화의효능#로또
- 삶의_기쁨
- 시골길#공사판#감사#내구역
- 작은_상전
- 윈도우팜
- 라벤더#소다수#탄산수#
- Joie_de_Vivre
- 천연차량용방향제#장미#로즈#로즈제라늄#라벤더#로즈마리#유칼립투스#오레가노#민트#타임#레몬#시더우드
- 탄소발자국
- 상전
- 뒷마당
- 무공해 살충제
- 롲
- 동반자
- 큰_상전
- windowfarms
- 오블완
- 마음의_여유
- 어느_날
- 목욕소금
- 천연아로마스프레이#오레가노#타임#유칼립투스#에센셜오일#레몬#자몽#오렌지#샌덜우드#캐모마일#airfreshner#relax&revive#stressaway
- 로즈마리
- 가정용 순환식 수경재배
- 주인님들
- 2004년#어느 날#마당#상전#이사#이별
- Herbs
- 자유로운_아이들
- 수소동력
- Today
- Total
Sarah’s Daily Bliss
로컬 푸드 (지역 식품) 먹기 운동 본문
먼저 아래 글은 현재 미국에서 전개되고 있는 운동으로, 한국과는 조금 괴리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밝혀 두고 싶다. 그 이유중 한가지는 국토 면적이 한국과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넓기 때문에 지역에서 생산된 식품이라는 정의가 조금 달라질 수 있다. 부산-서울간 경부 고속도로가 430-450km 정도 되는 우리 나라에서는 2,400km 의 식품 운송이란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식품 운송 거리가 짧으면 짧을수록 좋다는 취지하에 이글을 읽으면, 우리도 녹색 지구 만들기에 한 몫할 수 있을 것 같다. 비단 탄소 발자국만의 문제를 떠나 건강에도 좋고 맛도 좋은 신선 식품을 먹을 수 있으니 금상첨화가 아닐까 싶다.
그런데 일전의 어느 글에서도 적었듯이, 가장 좋은 로컬 푸드는 바로 각 가정에서 재배해 먹는 것이다. 작은 마당이나 텃밭이 있다면 좋겠지만, 도심의 아파트에서는 베란다나 집안 곳곳을 활용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것도 여러모로 멋진 일이다.
많은 분들이 위의 방법은 익히 알고 계시겠지만, 이들 보다 조금 더 공간 효울적이고 수경재배라는 이점을 가지고 있는 시스템이 바로 윈도우팜이다. 꼭 새로운 각오를 다지는 봄이 아니더라도 사시사철 실내에서 재배하여 수확할 수 있으니 강력 추천하고 싶은 시스템이다.
참고로 로커보어(locavore)라는 용어를 설명하자면, '지역'을 뜻하는 'local'과 라틴어의 '먹다'라는 뜻을 가진 'voer'이 합쳐저 만들어진 말로 '자신이 사는 주변 지역에서 난 먹을거리를 섭취하고자 애쓰는 사람들'을 지칭한다고 보면 될 것 같다.
운동 (local food movement), 가까운 지역에서 생산된 식품 먹기, "100마일 (약 160km) 다이어트" 에 참여하기나
로 살아가자는 말은 모두
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이와 관련한 소비는 현재 곳곳에서 광법위하게 일어나고 있는 녹색 운동의 중요한 일부로 그 성장세가 두드러진다.
의 대를 이어 지속 가능한 농업의 심볼로 떠오른 로컬 푸드는 아주 작은 범주내에서 생산, 가공, 배포 및 소비를 통합하여, 지속 가능한 지역 경제를 만들어 갈 뿐만 아니라 농업과 식품 소비 간의 강한 유대감을 형성하고 있다.
로컬 푸드를 먹을때의 이점
현지 음식과 관련한 장점은 소규모 가족 농장을 지원함으로써 얻게 되는 사회,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수많은 환경적 측면에서도 많이 발견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해서는
녹색 지구의 날 (having a green Earth Day)
과 관련하여 이미 언급한 적이 있다. 그러나 이는 단순하게 들리는 라이프 스타일을 선택하는데 있어 다양한 측면을 제공하기도 한다.
로컬 푸드란 무엇인가?
우선 로컬 푸드는 산업 식품 시스템의 대안으로 존재하는 지역 식품 시스템을 통해 생산되고 유통된다. 지역 시스템은 산업 시스템이 내세우는 규모와 양의 이슈를 조절과 관계라는 측면으로 대응한다; 로컬 푸드를 구입하면, 식품의 원산지를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식품을 재배한 사람들과 더불어 로커보어들과도 친숙한 관계를 맺어 나갈 수 있다.
그래서 "로컬 (현지, 지역)' 이라는 말은 특정 지역내를 구체적으로 지칭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160 km 나 250 km 내의 지역이나, 아님 운전해서 하루 안에 갈 수 있는 지역내의 농장 등을 정의하기도 한다. 그러나 로컬이라는 말은 단순히 거리상의 의미만을 담고 있는 것은 아니다.
로컬 푸드의 생태학
로컬 푸드에 대한 개념은 생태학의 관점에서도 정의되는데, 왜냐하면 식품 생산이 기후, 토양, 유역, 식품 종 및 농업 시스템에 의해 규정되는 기본적인 생태학적 단위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이 모든 요소를 통틀어 "생태지역(ecoregion)" 이나 "식품유역(foodshed)" 로 정의된다.
로컬 푸드 찾기와 구입하기
로컬 푸드의 정의에 따라, 너무 멀리서 찾지 말고 농산물 직판장, 공동 구매 식료품점, 지역 후원 농업 공동체 등과 같은 소규모 시장을 통해 조달하는 게 바람직해 보인다. 그 속에 로컬 식품의 환경적 매력이 들어 있다: 로컬 푸드는 운송, 가공, 포장 및 광고 등에 드는 경비를 줄여주거나 아예 없애 버리므로 금전적으로 뿐만 아니라 지구상의 환경적 측면에도 큰 도움이 된다.
식품의 장거리 운송에는 상당한 양의 화석 연료가 사용된다. 이런 화석 연료가 연소될 때 이산화탄소, 아황산가스, 미립 물질 및 기타 다른 오염물질이 대기중으로 방출된다. 이런 오염 물질들로 인해 기후 변화, 산성비, 스모그와 공기 오염이 가속화 된다. 심지어 당신이 구입한 과일, 야채, 유제품과 육류가 부패되는 것을 막기 위해 사용하는 냉장고도 에너지를 소비한다.
또한, 식품 가공업자들은 오랫동안 식품을 신선하게 유지하기 위해 (또는 적어도 신선하게 보이도록 하기위해) 엄청난 양의 종이와 플라스틱 포장재를 사용한다. 이런 포장재는 아예 재활용이 안되거나, 재활용하는데 적지 않은 어려움이 따른다. 이 모든 것들이 로컬 푸드를 지원해야 되는 이유지만, 단지 그 이유들이 이정도에 국한 된 것은 아니다.
로컬 푸드 운동의 그 외 역할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로컬 푸드 생산에서는 지속 가능한 농업과 혼양(polyculture) 이 가능하다. 혼양이란 광할한 대지에 한 종류의 곡물만 재배하고 가공하여 전세계로 선적해 보내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곡물을 심거나 재배하는 경우를 말한다. 예를 들어, 동절기 간작 (즉, 겨울동안 편두, 완두콩과 같은 콩과류 작물을 다루는 등)과 작물 윤작은 해충에 대한 고민을 덜어 주므로 살충제 사용을 줄여 준다. 또한, 동물/작물을 다양하게 재배하는 시스템에서는 거름이나 작물 잔류물 등과 같은 농장의 부산물들이 화학 비료를 대신하여 사용될 뿐만 아니라, 수입된 가공 사료를 먹이는 대신 농장에서 생산된 목초와 콩과 식물을 사료로 사용할 수 있다.
로컬 푸드에 대한 도전
그러므로, 로컬 푸드는 좀 더 견고한 지역 경제를 촉진하고, 지역사회를 만들어 가고, 탄소 발자국을 줄여줄 뿐만 아니라 지속 가능한 농업을 만들어 나가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이 로컬 푸드 운동의 앞날이 꼭 밝은 것만은 아니다. 로컬 푸드를 지원하는 것이 제 삼세계 국가들의 경제에 해를 끼친다는 비판이 일어나고 있는데, 이는 이들 국가들이 식품 수출과 현금 작물에 상당히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로컬 푸드 생산에 드는 에너지
또한, 로컬 푸드의 운송으로 인한 탄소 배출은 급감하지만, 운송이 식품의 전체 환경 발자국에서 차지하는 부분은 극히 일부분이다; 식품을 생산하는 과정과 여기에 들어 가는 에너지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뉴질랜드의 크라이스트 처치에 있는 링컨 대학의 한 연구에 의하면, "뉴질랜드 농업은 비료를 적게 쓰는 경향이 있으며 (참고로 비료 생산에는 엄청난 양의 에너지가 필요한데, 이는 심각한 CO2 방출의 원인이 된다), 가축들은 농축 사료와 같은 구입 사료를 먹는 대신 외부에서 방목하여 일년내내 목초를 뜯어 먹고 살 수 있다. 뉴질랜드의 유제품과 양고기 생산은 영국에서 생산된 제품을 운송해 오는 경우와 비교할 때 상당히 에너지 효율적이다."
로컬 푸드를 구입해서 먹을 때 가장 좋은 점들
로컬 푸드의 선택만이 완벽한 것이라고 말할 순 없지만, 로컬 푸드의 장점은 여전히 많다. 미국에서, 거의 2,400 km에 이르는 식품의 평균 이동 거리를 100km 이내로 줄일 수 있다면, 환경상에 미치는 효과는 어마어마해 진다. 집 근처에서 생산되는 식품을 사 먹으면, 신선한 제철 농산품을 먹게 될 뿐만 아니라 당신이 살고 있는 지역과 그 지역에서 살며 당신이 먹을 농산품을 재배하고 있는 사람들과도 친하게 된다. 가까운 곳의 로컬 식품은, 장거리 운송을 고려하여 익기전에 미리 딸 필요가 없으므로 좀 더 신선하고 그 맛도 뛰어나다. 그리고, 사람들은 누구나 하루에 몇번은 음식을 섭취하기 때문에, 우리의 식품 선택은 세계의 긍정적인 변화를 견인할 수 있는 거대한 잠재력을 지니게 된다.
TreeHugger 에서 로컬 푸드에 관한 더 많은 내용을 습득할 수 있다.
로컬 푸드의 인기가 날로 높아지고 있는 요즘, TreeHugger 에서도 매우 인기있는 주제가 되고 있다. 우리는 100 마일 다이어트로 사는 법과 로컬 푸드를 먹어야 하는 10가지 이유와 관련한 내용을 올려 놓았으며, 로컬 푸드의 탄소 발자국도 분석해 두었다. 어쩔 수 없는 경우를 제외하곤, 로컬 푸드를 먹자는 제안과 더불어 식품 표시와 관련한 농부들의 시장 속임수에 대한 증거를 올려 놓았다. 로컬 푸드에 관한 더 심도있는 정보를 얻고 싶으면 검색 엔진에서 '로컬 푸드(local food)"를 쳐 보기 바란다.
당신 주위에서 찾을 수 있는 로컬 푸드에 관해 알아 보기
National Sustainable Agriculture Information System, Sustainable Table 및 Local Harvest 를 체크하여, 당신 주면의 로컬 푸드를 찾아 보고, 이와 관련한 더 많은 내용을 알아 기 바란다.
'Who Cares? "We Do Care!" > Our Planet & Healthy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 가정의 식탁에 올릴 식품을 직접 재배해야 하는 이유 7가지 (0) | 2011.04.04 |
---|---|
원예 (정원 가꾸기) 의 장점 5가지 (0) | 2011.04.01 |
방사능 오염과 독성 물질에 대한 자연 치유법 (1) | 2011.03.18 |
하버드 사회적 기업 컨퍼런스에서의 각 분야를 통한 협업 (0) | 2011.03.15 |
우울증에 유용한 꽃 요법 7 가지 (0) | 2011.03.14 |